
성도의 특권과 사명 / 베드로전서 2:6~9
벌써 일년 반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펜데믹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연일 들리는 교회의 집단 감염 소식에 우리는 아무런 잘못도 없는데 괜히 세상 사람들의 눈치를 보게 되고, 또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도 움츠러들 때가 많습니다.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자로, 또한 이 세상을 복 주는 자로 부르신 하나님의 뜻을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세상의 영향력 아래에 짖눌려 살 때가 더 많지요. 그래서 우리는 성도의 특권과 사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오늘 본문 9절에서는 “성도의 특권과 사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아주 분명하게 말씀해주고 계십니다.
2:9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는 우리 성도들에게는 하나님이 주신 놀라운 특권과 사명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씀하는 특권이란, 우리 성도들이 받아서 누리는 복(축복)을 의미하는 것이고, 또 사명이란, 우리 성도들이 마땅히 감당해야 할 의무를 말씀하는 것입니다.
우리 성도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특권이 많은 반면, 아울러 감당해야 할 사명도 대단히 크다는 사실을 우리는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 둘은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언제나 서로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먼저, 성도가 받은 특권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2:9上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우리는 여기서 먼저 “그러나 너희는”이라는 말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이 말은 9절 말씀이 앞에 나오는 6~8절의 내용과 대조가 된다는 말입니다.
2:6 성경에 기록되었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로운 모퉁잇돌을 시온에 두노니 그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2:7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이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2:8 또한 부딪치는 돌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가 되었다 하였느니라 그들이 말씀을 순종하지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그들을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성경에 기록되었으되” - 이 말은 구약성경에 기록되었다는 말씀입니다. 실제로 이 말씀은 이사야 8:14~15 말씀을 인용한 것으로써, 장차 보낼 메시아를 믿지 아니하면 멸망하게 될 것을 예언한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 이 말은 믿는 자들에게는 은혜요 축복이라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믿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부딪치는 돌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가 되어서 망하게 될 것이라는 말씀이지요.
“그들이 말씀을 순종하지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그들을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 이 말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아니하므로 모든 특권을 다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의 말씀입니다.
이 말씀과 같이 실제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이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아니하므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주신 모든 특권을 상실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은 이 모든 특권을 대신 누리게 된 것이죠.
그러므로 본문 9절에 “그러나 너희는” 이라고 할 때, 너희는 바로 오늘날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성도들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이 말씀은 우리 예소망교회의 모든 성도들에게 주시는 말씀이지요.
그렇다면, 우리 예소망교회 성도들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특권은 무엇입니까? 9절에서는 그 특권을 네 가지로 말씀하고 있습니다.
2:9上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1) 하나님의 택하신 족속이 되는 특권입니다.
2) 왕 같은 제사장(주: 대제사장)의 특권입니다.
3) 거룩한 나라의 특권입니다.
4)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의 특권입니다.
이 특권이 얼마나 어마어마한 특권이요, 또한 놀라운 축복인지를 깨달을 때 우리는 이 땅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면서 전혀 위축되지 아니하고 가슴을 펴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 4가지 특권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다음 주에 계속해서 살펴보도